급성 방광염의 정의
급성 방광염은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이 보관되는 방광이 세균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방광 내 세균이 증식하면서 발생합니다. 방광염은 여성 전체의 30% 이상이 일생에 한 번 이상 겪는 매우 흔한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로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가능합니다.
급성 방광염의 원인
급성 방광염은 대부분 대장균으로 인해 발생하며, 장구균, 포도상구균, 간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세균이 요도를 타고 방광까지 이동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여성의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 여성의 요도가 남성보다 짧고, 장내 세균이 많은 항문과 세균이 잘 자랄 수 있는 질 입구가 요도와 가까워 세균이 쉽게 방광 쪽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급성 방광염은 자연 치유력도 있으나,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합병증으로 신장 염증, 요로 감염증, 방광결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생제나 소염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며, 물을 많이 마시고 배뇨를 자주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급성 방광염의 증상
방광염은 배뇨 중 통증, 작열감, 갑작스럽게 느끼는 요의, 소변의 양은 적으나 자주 느끼는 요의, 하복부의 통증, 혈액이 섞인 소변, 탁한 소변 색, 강하거나 불쾌한 냄새가 나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방광염이 의심된다면, 일반적으로 요도, 배뇨관, 방광의 촬영을 포함한 진단 검사가 이루어지며, 세균이나 기타 병원체의 유무도 확인됩니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자가 치료로도 호전될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악화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급성 방광염의 진단 및 치료방법
급성 방광염은 소변 검사와 임상 증상으로 진단됩니다. 소변 검사에서는 소변을 채취하여 배양 검사와 감수성 검사를 실시합니다. 이때 처음 소변은 버리고 중간에 나오는 소변을 채취합니다. 여성의 질염과 증상이 유사하므로 질 분비물 검사도 동반하여 진단합니다. 급성 방광염은 고열, 구토 및 옆구리 통증 등의 신우신염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방광염 치료입니다. 남성과 젊은 여성의 경우 단기 요법이 권장됩니다. 항생제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7일 이상 퀴놀론계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그러나 항생제 내성균의 경우 정맥주사 항생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방광염이 재발할 경우, 항생제를 저용량으로 3개월에서 6개월간 사용하거나 방광 면역 증강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방광 자극 증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온수 좌욕을 시행하거나 항콜린제 및 진정제를 투여합니다.
급성 방광염의 주의사항
여성의 방광염은 성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여성의 질 내에서 살던 세균들이 성행위를 통해 요도 입구 쪽으로 이동하여 감염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감염은 밀월 방광염(허니문 방광염)과 같이, 신혼부부가 첫날밤 이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환자는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고, 화장실을 자주 가야 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성관계 후에 방광염이 자주 재발하는 여성 환자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성관계 후 반드시 소변을 보아서 방광을 비워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성관계를 통해 세균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감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광염을 유발하는 나쁜 습관으로는 잦은 뒷물이 있습니다. 잦은 뒷물은 질 내 산성도를 떨어뜨려 정상적인 인체의 방어력을 유지하는 정상 세균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변을 보고 나서는 항상 앞에서 뒤쪽으로, 즉 요도 입구에서 항문 쪽으로 닦아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균이 질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감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급성 방광염의 관련질환
급성 방광염은 주로 성병, 골반 염증 질환, 요로결석, 요로감염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로생식기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성병으로는 클라미디아, 임균, 임신티비, 외음부 사마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성병은 방광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골반 염증 질환으로는 자궁근종, 자궁경부염, 난소낭종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방광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요로결석은 방광에 있는 요로결석이 방광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요로감염은 방광염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만약 급성 방광염이 의심된다면, 해당 증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방광염의 경과/합병증
대부분의 방광염은 적절한 항생제로 비교적 쉽게 치료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후 72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집니다. 그러나 드물게, 균이 상부 요로로 올라가 신장에 영향을 미쳐 신우신염이나 신장의 농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만약 감염이 혈액으로 퍼진다면, 패혈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의료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상식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의 원인과 치료방법 무엇인가? (1) | 2023.04.03 |
---|---|
췌장암의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3.04.03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증상 및 관리방법 (0) | 2023.04.03 |
심부정맥 색전증의 증상과 관리방법 (0) | 2023.04.03 |
족저 근막염의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3.04.02 |
댓글